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이 재선 후 중국산 수입품에 60%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밝힌 공약에 대해, 실제 적용 범위는 일부 산업에 한정될 가능성이 높다는 경제 전문가들의 관측이 나왔다.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의 보도에 따르면, 골드만삭스의 얀 하치우스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트럼프 행정부가 전반적인 중국산 수입품에 대해 평균 20% 정도의 관세를 적용할 가능성이 높다"고 예측했다. 그는 워싱턴DC에서 열린 싱크탱크 애틀란틱 카운슬 포럼에서 "60%라는 높은 관세율은 태양광 패널, 철강, 알루미늄 등 특정 산업에 국한될 것"이라고 밝혔다.
트럼프 전 대통령은 첫 임기 동안 강력한 대중 관세 정책을 통해 무역전쟁을 벌였으며, 재선 공약에서도 중국에 대한 경제적 압박을 지속하겠다는 입장을 고수했다. 하지만 하치우스 이코노미스트는 중국이 이에 대비해 다각적인 대응책을 마련해 왔다며, 이로 인해 트럼프의 관세 정책이 제한적으로 시행될 가능성이 크다고 설명했다.
그는 중국의 대응 전략으로 ▲주요 수출 품목 통제 ▲미국 국채 매각 ▲미국 기업의 중국 내 활동 제한 등을 제시했다. 실제로 중국은 지난해 일부 핵심 광물의 미국 수출을 금지하며, 미국의 반도체 수출 제재에 대한 대응에 나선 바 있다.
중국은 갈륨, 게르마늄 등 첨단 기술 개발에 필수적인 광물 수출을 제한하는 조치를 통해 미국의 경제 제재에 맞섰다. 이러한 조치는 단기적으로 미국의 기술 산업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중요한 카드로 평가된다.
또한, 중국은 세계에서 두 번째로 많은 미국 국채를 보유하고 있으며, 이를 점진적으로 매각해 달러 의존도를 낮추고 있다.
골드만삭스의 분석에 따르면, 트럼프의 재선 시 관세 정책은 제한적인 산업에 초점이 맞춰질 가능성이 높다. 이는 양국 간 경제적 상호 의존성을 완전히 단절하기 어렵다는 점에서 비롯된다. 전문가들은 이러한 제한적 관세 정책이 글로벌 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무역전쟁 초기와는 다를 수 있다고 보고 있다.
트럼프의 관세 정책과 중국의 대응이 앞으로 어떻게 전개될지는 국제 경제의 중요한 변수로 작용할 것이다. 이는 단순한 무역 갈등을 넘어 기술 경쟁, 금융 전략 등 다방면에서의 긴장 관계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