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삶에서 불편함과 도전은 늘 피하고 싶은 대상이다. 까다로운 사람과의 대화, 반복되는 업무의 어려움, 예상치 못한 문제들은 종종 우리를 지치게 한다. 그러나 이 불편함 속에서 우리가 얻게 되는 성장과 배움은 때로는 그 자체로 더 큰 가치를 지닌다.
“소가 없으면 구유는 깨끗하려니와, 소의 힘으로 얻는 것이 많으니라”는 잠언의 말씀은 이 점을 잘 설명한다. 소를 키우지 않으면 마굿간은 늘 깨끗하게 유지할 수 있겠지만, 농사에 필요한 힘과 짐을 나르는 소의 유용성 역시 사라지게 된다. 우리 삶의 지저분하고 불편한 상황 역시 마찬가지다. 겉으로는 정리되고 깔끔한 환경처럼 보이겠지만, 그로 인해 잃게 되는 기회와 성장은 결코 무시할 수 없다.
현대 사회에서 우리는 효율성과 깔끔함을 중요시하지만, 이런 추구는 때로 필요한 과정에서의 ‘지저분함’을 놓치게 만든다. 예를 들어, 일을 하다 보면 옷이 더러워지고 손에 흙이 묻을 수 있다. 이런 작은 불편함을 피하려고만 하면 진정한 작업의 결과를 얻기는 어렵다. 군인이 전쟁에서 군복이 더러워지는 것을 두려워하지 않는 것처럼, 우리는 과정의 불편함을 감수하며 앞으로 나아가야 한다.
이 원리는 직장과 일상에서도 그대로 적용된다. 일터에서 까다로운 고객을 상대하거나 복잡한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은 우리를 피곤하게 만든다. 때로는 업무를 그만두고 싶거나, 문제를 단번에 회피하고 싶은 마음이 든다. 그러나 문제를 해결하려는 노력이 쌓일 때, 우리는 더 나은 능력과 자신감을 갖추게 된다. 도전은 때로 힘들지만, 그 과정을 통해 쌓이는 경험과 결과물은 무한한 가치를 지닌다.
지금의 정치적 사회적 경제적 상황 역시 마찬가지다. 불확실성과 변화의 압박이 우리를 둘러싸고 있지만, 이러한 도전 속에서 우리는 새로운 가능성을 발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많은 기업들이 팬데믹 상황에서 디지털 전환을 가속화하며 새로운 성장 기회를 창출했었다. 개인 역시 위기의 순간에서 새로운 기술을 배우거나, 변화를 받아들이는 법을 터득하며 이전에는 상상할 수 없던 기회를 만들어가고 있다.
결국 중요한 것은 태도다. 문제를 회피하려고만 하면 깨끗한 구유는 유지할 수 있겠지만, 소의 힘으로 얻는 풍요로움은 기대할 수 없다. 불편함 속에서 배움을 얻고, 도전을 통해 성장하려는 자세가 필요하다. 소처럼 우직하고 성실하게 나아가는 태도는 비록 더디 보일지라도, 결국에는 우리가 원하는 결과를 가져다줄 것이다. 그래서 민주주의는 시끄럽고 혼란스러워도 다양한 성취를 이룬다.
지금 우리 앞에 놓인 불편함과 도전은 단순히 우리가 피해야 할 대상이 아니다. 그것은 우리를 더 단단하게 만들고, 더 높은 곳으로 데려다 줄 기회의 씨앗이다. 지금의 어려움이 언젠가는 풍성한 결실로 이어질 것임을 믿으며, 묵묵히 나아가자. 지저분한 과정 속에서도 우리는 성장하고, 더 나은 내일을 만들어갈 수 있다.
[발행인: 李潤洛]
tjchina2000@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