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발행인 칼럼] "금투세 폐지, 조세 정의와 시장 활성화 사이의 선택"
  • 이윤낙 발행인
  • 등록 2024-11-04 10:57:11
기사수정

금융투자소득세(금투세) 도입을 둘러싼 논란이 결국 폐지라는 결론에 이르렀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금투세 폐지에 동의하면서, 당초 조세 정의 실현과 세수 확대라는 명분으로 추진되었던 금투세는 시장의 우려와 반발 속에서 사실상 시행이 무산되었다. 이번 금투세 폐지 결정은 국민적 신뢰와 조세 정책의 명분, 그리고 자본시장 활성화라는 복잡한 경제적 이해관계 속에서 이루어진 만큼, 향후에도 정책 결정 과정에서 공감대 형성이 중요한 교훈으로 남게 되었다.


금투세는 고소득층의 자본이득에 대해 공평하게 세금을 부과하겠다는 취지에서 시작되었다. 자산 가치 상승을 통해 주로 고소득층에게 집중되는 이익에 대해 과세를 함으로써, 소득 불균형을 완화하고 국가 재정에도 기여하겠다는 목표였다. 저출산·고령화로 인해 정부의 복지 부담이 커지는 상황에서 금투세는 중요한 세수 확보 수단으로 평가되었으며, 조세 정의를 실현하는 데 기여할 것이라는 기대도 있었다.


그러나 금투세는 주식시장과 투자자들 사이에서 오히려 큰 논란을 일으켰다. 주식 거래에 이미 거래세가 부과되고 있는 상황에서 자본이득에 추가적으로 세금을 부과하는 것은 과도한 이중과세라는 반발이 있었으며, 특히 서민층과 청년층에게 경제적 기회를 빼앗을 수 있다는 우려가 적지 않았다. 주식시장은 서민과 젊은 세대에게 중요한 자산 형성의 기회로 작용하고 있는 만큼, 금투세가 도입될 경우 이들이 부담하게 될 세금이 자산 형성의 발목을 잡을 수 있다는 비판도 제기되었다.


게다가 최근 경기 불확실성과 주식시장 침체가 이어지는 상황에서 금투세가 투자 심리를 더욱 위축시킬 수 있다는 분석이 힘을 얻었다. 경제 성장과 안정이 중요한 시기에 금투세와 같은 새로운 세금 도입이 오히려 주식시장으로부터의 자본 유출을 초래하고, 국내 시장의 유동성을 약화시킬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 것이다. 특히 경기 침체기에는 새로운 세금이 국민 경제 전반에 미치는 파급력이 큰 만큼, 금투세 도입이 시장과 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해 신중히 접근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졌다.


금투세 폐지는 이번 논란을 통해 정책 결정 과정에서 국민적 공감대 형성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보여준다. 정책의 명분이 아무리 타당하더라도, 그로 인해 실질적 부담이 증가하고 국민들이 느끼는 불만이 커진다면 결국 정책의 실효성을 잃을 가능성이 크다. 조세 정책은 특히 국민의 삶과 직접적으로 연관되어 있는 만큼, 다양한 계층의 경제적 여건과 상황을 면밀히 고려해야 한다. 조세 정의를 실현하기 위한 과세가 오히려 국민에게 경제적 부담을 가중시키는 결과를 초래하지 않도록, 정책 도입 시점과 적용 대상을 더욱 신중히 검토할 필요가 있다.


향후 정부와 정치권은 금투세 폐지 이후에도 조세 정의를 실현하기 위한 균형 잡힌 정책을 고민해야 할 것이다. 자본시장이 특정 계층에게만 이익을 집중시키지 않도록 공평한 세금 부과 방안을 모색하는 것은 여전히 중요한 과제다. 자산 형성과 경제적 기회를 공정하게 보장하면서도, 경제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는 정책적 대안을 마련해야 할 시점이다. 금투세 폐지 결정은 주식시장과 국민 경제의 건강한 성장을 위한 전환점이 될 수 있다. 정부는 이 결정을 통해 얻어진 교훈을 바탕으로 보다 현실적이고 국민이 공감할 수 있는 조세 정책을 마련해나가야 한다.


0
dummy_banner_2
dummy_banner_3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