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이 11월 25일(현지시간) 소셜미디어를 통해 취임 후 중국산 제품에 10%, 멕시코와 캐나다산 제품에 25%의 추가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발표했다.
이러한 발표는 트럼프 행정부 2기의 경제 정책이 다시 한번 보호무역주의로 전환될 가능성을 시사하며, 글로벌 무역 긴장이 재점화될 조짐을 보이고 있다.
중국 언론은 트럼프 당선인의 추가 관세 예고에 대해 "결국 고관세 정책은 미국 소비자에게 부담을 전가할 뿐만 아니라 미국 내 물가 상승을 부추길 것"이라고 분석했다.
특히, 트럼프 행정부 1기였던 2018년 하반기 미중 무역 전쟁 발발 이후, 미국의 대중국 평균 수입 관세율이 3.1%에서 19.3%로 대폭 상승했던 전례를 들어 이번 정책 역시 유사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트럼프 당선인은 경선 기간 동안 ▲모든 수입품에 대해 10~20%의 일괄 관세 부과 ▲중국산 제품 대상 최대 60% 관세 부과 ▲중국에 대한 최혜국 대우 박탈 ▲멕시코에서 생산된 중국 기업의 자동차에 100% 관세 부과 등 이른바 '관세 폭탄' 공약을 내세운 바 있다.
이번 관세 부과 예고는 그러한 공약의 연장선으로, 중국뿐 아니라 주요 무역국인 캐나다와 멕시코와의 관계에도 긴장을 초래할 수 있다는 우려를 낳고 있다.
중국 언론은 이번 관세 인상이 소비자 물가에 미칠 영향을 우려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고관세는 미국의 공급망 비용 상승으로 이어지며, 이는 소비자 가격 상승으로 직결될 것"이라며 "이미 고공 행진 중인 미국의 인플레이션을 더욱 악화시킬 수 있다"고 경고했다.
트럼프 당선인의 이번 선언으로 미중 간 경제 긴장이 다시 고조될 가능성이 높아졌다. 중국은 아직 공식적인 대응을 내놓지 않았으나, 관세 인상에 따른 보복 조치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는 상황이다.
미중 무역 갈등이 다시 불거질 경우, 글로벌 경제에도 큰 충격을 줄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된다. 한국을 포함한 주요 교역국은 이러한 변화가 자국 경제에 미칠 영향을 주의 깊게 살펴야 할 시점이다.
이번 트럼프 당선인의 관세 정책 발표는 세계 경제에 또 다른 불확실성을 더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