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중국 스마트 안경 시장, AI 융합으로 폭발적 성장…의료·교육·산업 전방위 확산
  • 이다인 기자
  • 등록 2025-03-26 13:48:45
기사수정
  • 웨어러블 기기 신전장, 글로벌 기업과 중국 로컬의 격전지로 부상

【편집자 주】 AI 기술과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융합은 기술 소비 시장의 방향을 재편하고 있다. 스마트폰 이후의 플랫폼 경쟁에서 스마트 안경이 중심축으로 부상하고 있는 지금, 한국 기업들의 선제적 전략 수립이 요구된다.


건설 현장에서 스마트 안경을 통해 설계 도면을 확인하며 구조물을 설치하는 작업자의 모습. 이는 작업 효율성과 정확도를 높이는 데 도움이 된다. (사진: 웹 캡쳐)


【베이징=더플라자글로벌신문】 스마트폰 이후의 차세대 디지털 플랫폼으로 주목받는 스마트 안경이 중국에서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AI 기술의 진화와 기기의 경량화가 맞물리며 소비자용은 물론 의료, 교육, 산업 등 다양한 분야로 활용이 확대되는 가운데, 글로벌 테크 기업들과 중국 로컬 기업 간의 기술 경쟁도 본격화되고 있다.


중국에서는 지난해 11월 바이두가 자사 중국어 거대언어모델을 탑재한 AI 안경을 출시하면서 본격적인 시장 진입을 알렸다. AI 안경은 음성 인터랙션, 실시간 번역, 건강 모니터링 등 지능형 기능을 탑재하면서 전통적인 AR·VR 기기와 차별화된 사용 경험을 제공한다. 특히 무게 50g 미만의 초경량 디자인이 보편화되며 착용의 편의성도 급격히 향상되었다.


급성장하는 글로벌 및 중국 시장 출하량 추이

연도
글로벌 출하량(만 대)
중국 출하량(만 대)
중국 출하량 증가율
2023
71
11
-
2024
156
16
44%
2025 (예상)
375
35
114%

▲ 스마트 안경 출하량 전망. AI 기능 탑재 제품군이 시장 성장을 주도하고 있다. (자료: RUNTO Technology)


시장조사기관 로투테크놀로지에 따르면, 2024년 글로벌 스마트 안경(AR 제외) 출하량은 156만 대로 전년 대비 119% 증가했다. 중국은 16만 대로 44% 증가했으며, 2025년에는 출하량이 35만 대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이와 같은 폭발적 성장의 배경에는 AI 기반 시나리오별 응용 확대와 하드웨어 업그레이드가 있다.


기기별로는 메타와 레이밴이 협력한 '레이밴 메타 스마트 글래스'가 세계 시장을 선도하고 있으며, 중국에서는 바이두 '샤오두 AI 글래스', 샤오미 '안경 카메라', 로키드 '로키드글래스' 등이 치열한 경쟁을 벌이고 있다. 특히 실시간 번역, AR 내비게이션, 칼로리 인식, 원격 진단 등 중국 시장 특화 기능들이 탑재된 것이 특징이다.


주요 브랜드 및 제품 비교 표

국가
제조사
제품명
유형
가격(위안)
무게(g)
사용 시간
주요 기능
미국
메타(Ray-Ban)
레이밴 메타
AI
2166
50
4시간
실시간 촬영, 공유, 음성 인터랙션
중국
바이두
샤오두 AI 글래스
AI
2000
45
5시간
번역, 칼로리 인식, AI 음성 비서
중국
썬더버드
V3
AI
1799
40
7시간
촬영, 경량 오피스
중국
샤오미
안경 카메라
AR
2699
100
3.3시간
AR 내비게이션, 제스처 제어
미국
메타
퀘스트 시리즈
VR
2999~
515~600
2~3시간
고해상도 VR 게임
미국
애플
비전 프로
MR
25000
680
2시간
3D 공간 컴퓨팅, 시선 추적


스마트 안경의 활용은 소비자 영역을 넘어 각 산업 분야로 확산되고 있다.


의료 분야에서는 AR 안경을 통한 수술 보조와 원격진료, 환자 상태 실시간 모니터링이 이뤄지고 있다. 지난 2월, 베이징아동병원에서는 AR 안경을 착용한 의사가 환자의 증상을 촬영하고 실시간 회진 시스템에 연동해 진료하는 사례가 공개돼 주목을 받았다.


교육 현장에서는 AR 기술을 활용해 3D 모델 시청, 역사 시뮬레이션, 과학 실험 등의 교육 콘텐츠가 제공되며, 교사들은 스마트 안경을 통해 원격 수업과 실시간 상호작용을 실현하고 있다. 상하이 푸퉈구에서는 VR 기술을 활용한 재난 대비 교육이 실시되며 학생들의 몰입형 안전 교육 모델로 자리 잡았다.


산업 현장에서는 작업자들이 스마트 안경을 통해 기계 수리 가이드, 원격 점검, 위험 요소 감지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이는 생산성 제고와 안전 강화라는 두 가지 과제를 동시에 해결하는 대안으로 평가받고 있다.


의료, 교육, 산업 현장에서의 실제 응용 사례

분야
적용 사례
주요 효과
의료
베이징아동병원 AR 원격진료
실시간 영상 진료, 전문의 원격 회진
교육
상하이 푸퉈구 VR 안전 수업
지진·화재 시뮬레이션으로 몰입형 교육 제공
산업
작업자 원격 수리 지도
효율성 향상, 안전사고 예방


한편, 2025년 중국 양회(양대 정치 행사)에서는 AR 스마트 안경이 외국 언론인을 위한 실시간 자막 번역 및 현장 촬영 기능으로 시연돼 기술의 사회적 응용 가능성을 확인시켰다.


향후 스마트 안경은 ▲AI와 AR의 융합, ▲경량화와 착용 편의성 강화, ▲다중 상호작용(음성, 제스처, 안구 인식 등)의 진화 방향으로 발전할 전망이다. 동시에 스마트홈, 스마트카 등 IoT 기기와의 연동을 통해 사용자의 일상 속에 깊숙이 스며들 것으로 보인다.


충칭 디지털 인텔리전스 AI 응용 연구원 방 부원장은 본지에 “스마트 안경은 혼합현실 기술의 핵심 플랫폼으로서 각 산업의 디지털 전환을 이끄는 중추적 역할을 하고 있다”며, “한국 기업이 중국 시장에 진출하기 위해서는 현지화된 사용자 경험, 인터랙션 기술, 표준화 대응 전략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0
dummy_banner_2
dummy_banner_3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