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기자 수첩] 정부의 즉흥성, 국정 혼란 초래
  • 이윤낙 발행인
  • 등록 2024-05-20 15:33:00
  • 수정 2024-05-21 14:31:32
기사수정

윤석열 정부의 최근 정책 결정 과정과 결과는 국정 운영에 큰 혼란을 초래하고 있다. 특히 중국 직구 제품 전면 금지 발표는 이러한 혼란의 대표적인 사례다. 처음에는 모든 중국 직구 제품을 금지하겠다는 극단적인 조치가 발표되었으나, 이후 위험성이 검증된 제품으로 범위가 좁혀졌다. 결국 80종의 플라스틱 제품 등 특정 품목만 금지하기로 변경되었지만, 국민들은 이미 큰 혼란을 겪은 후였다.


또 다른 예로, 의대 정원을 2000명 늘리는 것이다. 이는 처음에는 400~500명 증원으로 알려졌으나, 갑작스레 2000명으로 확대되었다. 이 같은 급진적인 변화는 의료계의 강력한 반발을 불러 일으켰다. 2000명의 증원은 5년 후 1만 명의 의사를 추가로 확보하겠다는 의도로 다수 국민의 지지는 받고 있지만, 실제 의료 서비스의 질적 향상을 담보하지는 못한다는 것이 의료계의 주장이다.


과학 예산 삭감 역시 처음에는 과학기술 연구 예산을 줄이겠다는 발표로 시작되었다. 그러나 곧 예비타당성조사를 면제하겠다는 결정으로 바뀌었다. 이는 극단적인 정책 변화로, 정부의 정책 방향이 일관성 없음을 보여준다. 이러한 급작스러운 변화는 관련 산업과 학계에 큰 혼란을 초래하며, 국가의 장기적인 과학기술 발전을 저해할 우려가 있다.


취학 연령을 5세로 낮추겠다는 계획 역시 혼란스럽다. 이 정책은 발표 후 철회되었고, 여가부 폐지에 관한 소식도 들리지 않는다. 저출산대응기획부 신설과 같은 정책 역시 졸속으로 이루어진 결정이라는 비판이 있다. 노동부의 연장 근로 방안, 노동법원 설치 등은 정부의 계획인지 대통령의 즉흥적인 발상인지 불분명하다. 특히 노동약자보호법은 민생토론회장에서 즉흥적으로 나온 약속으로 보인다. 이처럼 즉흥적인 정책 발표와 철회는 국민들에게 큰 혼란을 초래하며, 정부의 신뢰도를 떨어뜨린다.


경제적 불평등에 대한 윤 대통령의 연설도 논란이 되었다. 윤 대통령은 경제적 불평등이 자유민주주의를 좀먹는다고 주장했으나, 이러한 발언은 보수 진영 전체에 대한 신뢰를 저해하며, 보수주의의 가치에 대한 왜곡된 인식을 심어줄 수 있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윤석열 정부의 즉흥적인 정책 결정은 국정 운영의 불안정성을 가중시킴으로 국민들은 정부의 정책 변화에 대해 불신을 가지게 되고, 이는 장기적으로 국가의 발전을 저해할 수 있다. 정부는 정책 결정에 있어 보다 신중하고 일관성 있는 접근을 취해야 한다. 이는 국민들에게 신뢰를 회복하고, 국가의 안정적 발전을 도모하는 길이기 때문이다.


0
dummy_banner_2
dummy_banner_3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